2019 대구 국제마라톤 10km 평균 기록 분석
대구에서 열린 2019 국제마라톤 대회는 많은 러너들에게 도전의 장이었습니다. 이 대회를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고, 서로의 기록을 비교하며, 마라톤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19 대구 국제마라톤 10km 부문 참가자들의 평균 기록과 그 의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참가자 수와 완주율
대구 국제마라톤 10km 부문에는 약 9,299명이 참가신청을 하였으나, 실제로 출발한 인원은 7,335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약 81.32%의 출발률을 나타내며, 참가자 중 일부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출발하지 못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상황은 마라톤 대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일이며, 신체적 조건이나 정신적 준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출발한 7,335명 중에서 정상적으로 완주한 사람은 약 6,646명으로, 남성의 경우 약 92%, 여성의 경우 약 87%가 완주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마라톤의 특성상 체력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여성 참가자들의 이탈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총 참가자 수 | 출발자 수 | 완주자 수 | 남자 완주율 | 여자 완주율 |
---|---|---|---|---|---|
총 참가자 | 9,299명 | 7,335명 | 6,646명 | 92% | 87% |
이 표는 대구 국제마라톤 10km 부문에 참가한 전체 인원의 출발 및 완주율을 나타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는 데 있어 신체적, 정신적 준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됩니다.
평균 기록 분석
정상적으로 완주한 6,646명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평균 기록은 약 1시간 7분, 중간값은 1시간 4분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평균 1시간 22분, 중간값은 1시간 19분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 간의 체력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남성 참가자들이 일반적으로 더 빠른 기록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는 러너들은 대개 어느 정도의 체력이 있어야 하며, 이를 고려할 때 남성 참가자가 1시간 이내로 완주하는 경우는 체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됩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1시간 15분 이내의 기록이 매우 우수한 성적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성별 | 평균 기록 | 중간값 |
---|---|---|
남자 | 1시간 7분 | 1시간 4분 |
여자 | 1시간 22분 | 1시간 19분 |
위 표는 참가자 성별에 따른 평균 기록과 중간값을 비교하여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대회에 출전하는 러너들에게 목표 설정을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출발 위치와 기록의 관계
대회에서 출발 위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앞쪽에 위치한 러너들은 출발 직후 많은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어, 더 좋은 기록을 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록은 도착 시간이 아닌 출발 시간과 도착 시간의 차로 계산되기 때문에, 출발 위치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회 기록을 분석한 결과, 출발 위치가 뒤쪽에 있는 참가자들이 기록이 더 좋지 않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경쟁자들 간의 밀집으로 인해 초반 페이스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회에 참가하는 러너들은 가능하다면 자신의 예상 기록에 맞는 출발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출발 위치 | 평균 기록 |
---|---|
앞쪽 | 1시간 5분 |
중간 | 1시간 10분 |
뒤쪽 | 1시간 15분 |
위 표는 출발 위치에 따른 평균 기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러너들이 대회에 참가할 때 전략적으로 출발 위치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중간 기록과 최종 기록 간의 관계
러너들이 대회 중간에 체크포인트를 통과할 때, 자신의 순위와 기록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예를 들어, 5.4km 지점에서의 순위는 최종 순위에 비해 대략 4.5%의 유지율을 보였고, 7.8km 지점에서는 약 2.1%의 유지율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중간 기록이 최종 기록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합니다. 러너가 중간 기록에서 앞서 있다면, 최종 기록에서도 유리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 차이가 적을 경우 역전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중간 기록과 최종 기록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향후 훈련 및 전략 설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순위 유지율 |
---|---|
5.4km | 4.5% |
7.8km | 2.1% |
위 표는 체크포인트에서의 순위 유지율을 보여줍니다. 이는 러너들이 대회 중 자신의 기록을 관리하는 데 있어 중요한 데이터가 될 수 있습니다.
결론
2019 대구 국제마라톤 10km 부문의 평균 기록 분석을 통해, 참가자들이 어떤 환경에서 기록을 세우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대회 참가자 수, 출발 및 완주율, 평균 기록, 출발 위치와 중간 기록 간의 관계 등 다양한 요소들은 러너들이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훈련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라톤은 단순한 경주가 아니라, 개인의 한계를 시험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과정입니다. 각자의 기록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건강을 챙기며, 더 나아가 마라톤의 매력을 깊이 느끼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분석이 러너들에게 유용한 가이드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